재산세는 매년 정해진 기간에 납부해야 하는 지방세로,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중요한 세금입니다.
특히 9월은 주택분 재산세의 납부가 집중되는 시기이므로, 기한과 대상, 가산세 규정, 납부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9월 재산세 납부기간과 기준, 대상, 가산세 규정, 그리고 꼭 알아두어야 할 유의사항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9월 재산세 납부기간
- 납부 기간: 매년 9월 16일 ~ 9월 30일
- 대상: 주택분 재산세(7월에 이어 나머지 50%)
납부는 은행 창구, 무인수납기, ATM, 인터넷 뱅킹, 신용카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특히, 위택스(Wetax)와 지방세입납부 시스템을 이용하면 집이나 사무실에서도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발생하므로, 9월 말일을 놓치지 않도록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2. 재산세 납부 기준과 대상
📌 재산세 부과 기준일
- 매년 6월 1일 현재 부동산 소유자를 기준으로 과세됩니다.
- 이후 소유권이 이전되더라도 6월 1일 기준 소유자가 납세 의무자가 됩니다.
📌 과세 대상
- 주택: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등
- 건축물: 상가, 오피스텔, 창고, 공장 등
- 토지: 대지, 임야, 농지 등
📌 주택분 재산세 납부 방식
- 주택분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에 나누어 부과됩니다.
- 7월: 1차분(50%)
- 9월: 2차분(50%)
- 다만, 과세액이 10만 원 이하일 경우 7월에 일괄 납부됩니다.
📌 사례 예시
- 아파트 소유자: 7월과 9월에 각각 50% 납부
- 소규모 주택(재산세 10만 원 이하): 7월에 전액 납부
- 상가나 토지 소유자: 해당 과세 항목에 따라 각각 부과
3. 가산세 규정
기한 내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붙습니다.
- 납부 지연 가산세: 세액의 3%
- 중가산세: 매일 **0.022%**씩 추가 부과
예를 들어 100만 원의 재산세를 10일 연체하면, 3%인 30,000원과 일수별 가산세가 더해져 상당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한을 반드시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납부 시 주의사항
재산세를 납부할 때는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합니다.
- 자동이체 활용
- 은행 계좌나 신용카드 자동이체를 신청하면 연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온라인 납부
- 위택스, 인터넷 지로,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 납부 가능
- 24시간 납부 가능하므로 직장인도 활용하기 좋습니다.
- 알림 서비스 신청
- 지방세 납부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면 기한을 놓치지 않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이중 납부 주의
- 동일 세금을 중복 납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납부 후 영수증이나 이체 내역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 카드 포인트 납부 가능
- 일부 카드사는 포인트로 지방세 납부가 가능하므로 혜택을 확인하는 것도 좋습니다.
5. 마무리
9월은 주택분 재산세의 2차 납부기간으로,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반드시 납부해야 합니다.
납세 기준일은 6월 1일이며, 주택·건축물·토지가 과세 대상입니다. 기한 내 미납 시 3% 가산세와 매일 0.022%의 중가산세가 추가되므로 연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자동이체, 위택스, 모바일 납부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편리하게 납부하고, 꼭 기간 내에 세금을 납부해 불이익을 피하시기 바랍니다.
놓치면 후회하는 콘텐츠 BEST 5
아프지 않고 오래 사는 사람들의 공통된 '5가지' 비밀 루틴
병원에 자주 가는 사람과, 80이 넘어도 정정하게 살아가는 사람의 차이는 뭘까요?운이 좋았기 때문일까요? 유전자가 좋아서일까요? 물론 유전도, 운도 일부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
lifebackup.co.kr
의사도 추천하는 하루 5분 건강 루틴, 꾸준히 하면 병원비 아낄 수 있어요
“요즘 병원비 너무 비싸서 감기도 무섭다”는 말, 진료실에서 자주 듣습니다.30년차 의사인 김모씨 역시 환자들이 병원에 덜 오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오랜 의사 생활을 하
lifebackup.co.kr
20년 치과의사가 자녀에게만 알려주는 양치의 순서, 딱 하나만 기억하세요
“양치 열심히 했는데 왜 또 충치가 생기죠?”치과를 찾는 환자들 중 절반 이상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대부분 양치를 ‘열심히’ 하긴 해도 ‘제대로’ 하지는 않습니다. 20년 경
lifebackup.co.kr
"몰랐다가 손해 봅니다"...부모님 돌아가신 후 꼭 해야 할 3가지 비밀
부모님이 돌아가시는 일은 감정적으로 큰 충격을 주는 사건입니다. 그런데 그 슬픔에 잠겨 행정처리와 세무 절차를 놓쳐버리는 순간, 수천만 원의 손해와 법적 문제를 떠안게 될 수 있습니다. 20
lifebackup.co.kr
"이 숫자는 절대 안 나와"...통계학 박사가 말하는 3가지 로또 당첨 공략법
매주 수백만 명이 한 줄의 희망을 꿈꾸며 사는 로또.하지만 1등 당첨 확률은 800만 분의 1,그 희박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로또를 사는 사람들은 끊이지 않습니다. 통계물리학자 김범준 교수는 로
lifebackup.co.kr